서울시, 재정비촉진지구 공공기여 의무 기준 폐지
- seoultribune
- 3월 22일
- 1분 분량

서울시가 재정비촉진지구 내 공공기여 의무 기준을 폐지하는 등 재정비촉진사업의 사업성 개선을 위해 수립기준을 개편했다고 19일 밝혔다.
시는 이런 내용 등을 담은 재정비촉진계획 수립기준 전면 개편 방향을 전날 제3차 서울특별시 도시재정비위원회에 보고했다.
재정비촉진계획 수립기준은 재정비촉진사업의 정비계획 수립기준이 되는 서울시의 행정계획이다. 이번 조치로 18년 만에 전면 재편됐다.
우선 재정비촉진지구 내 공공기여 의무 기준(10% 이상)이 폐지된다. 상업지역과 준주거지역에 대해 비주거비율 완화도 즉시 시행한다.
상업지역 비주거비율은 현행 20% 이상에 10% 이상으로 완화되고, 준주거지역 비주거비율(10% 이상)은 폐지된다.
용적률 체계를 개편해 일반 정비사업에만 적용되던 사업성보정계수를 도입하고, 재정비촉진지구별로 밀도 및 높이 기준 개선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사업성보정계수는 서울시가 도시·주거환경정비기본계획을 통해 지가가 낮은 지역을 대상으로 도입한 용적률 인센티브 개선방안이다.
시는 재정비촉진계획 변경절차를 간소화해 개별 사업장에서 개편된 기준을 신속히 적용할 수 있도록 할 방침이다. 이를 위해 임대주택 변경계획도 경미한 사무로 처리할 수 있게 조례 개정을 추진한다.
서울트리뷴 (c)
Comentario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