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PEF 오퍼레이션 역량, ‘투자 이후’ 딜레마 부상…해법은 하이브리드형 인재
- seoultribune
- 4월 9일
- 2분 분량

글로벌처럼 Capstone 모델 구축 어렵지만…투자-경영 경험 결합한 실전형 리더 부각
홈플러스 사태 이후 국내 PEF 시장에서 ‘오퍼레이션 역량’에 대한 논의가 다시금 수면 위로 떠올랐다. 국내 사모펀드 운용사들이 포트폴리오 기업의 경영 개선에 미흡하다는 지적은 어제오늘 일이 아니지만, 기업 회생이라는 극단적 사례를 마주하며 본질적 해결책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업계에서는 단순한 인력 충원이나 조직 구축을 넘어, 국내 PEF 시장의 구조와 현실에 맞는 ‘실행 기반 오퍼레이션 체계’ 정립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글로벌 PEF, 조직화된 실행 체계로 성과 창출
글로벌 PEF들은 이미 수십 년 전부터 투자 이후 기업가치 제고를 위한 전담 오퍼레이션 조직을 운영 중이다. 대표적으로 KKR은 2000년 ‘KKR Capstone’을 설립해 약 100명의 전문가를 두고 있으며, Carlyle과 TPG 역시 자회사나 내부 Value Creation Group을 통해 체계적인 포트폴리오 개선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이들은 투자 초기부터 전략 수립, PMI(Post-Merger Integration), KPI 설계, 비용 절감, 조직 효율화 등 Value-up 로드맵을 직접 실행하거나 조율한다. 특히 투자팀과 별도로 운영 조직이 존재하며, 주요 프로젝트별 책임자가 명확히 구분돼 있다.
국내는 구조적 제약 여전…“글로벌 모델 그대로 이식 어려워”
국내 운용사들도 유사한 시도를 이어왔다. 한앤컴퍼니는 초기에 오퍼레이션 전담 팀을 구성해 현재는 CSG라는 별도 법인으로 운영 중이고, IMM PE는 2020년 IMM오퍼레이션즈를 출범시켰다. 스틱인베스트먼트, MBK파트너스도 외부 인사를 오퍼레이션 파트너로 영입해 활동해왔다.
하지만 글로벌 모델을 단순히 이식하기엔 한계가 명확하다. 포트폴리오 수가 제한적이고 인력 풀도 협소한 상황에서, 전담 오퍼레이션 인력 운영이 구조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 업계의 중론이다.
한 PEF 대표는 “국내에서는 삼성, LG 등 대기업 출신 임원들이 주로 오퍼레이션을 맡고 있지만, 실제 현장 경영진과 시너지를 내는 데는 한계가 있다”며 “연령대, 조직문화, 의사결정 방식의 차이로 마찰이 빈번하게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하이브리드형 인재 부상…‘투자+경영’ 경험자 주목
이러한 상황에서 최근 주목받는 것은 투자와 경영을 모두 경험한 ‘하이브리드형 인재’다. 대표적으로 IMM오퍼레이션즈 그룹의 김유진 대표가 그 예다. 김 대표는 BCG를 거쳐 IMM PE에서 주요 딜을 담당했으며, 할리스와 에이블씨앤씨(미샤), 한샘 등의 CEO를 직접 역임했다. 운용사 내부에서는 “딜 감각과 현장 경영의 균형을 갖춘 인물”로 평가한다.
이는 곧, 단순히 전문가 집단을 별도로 구성하는 것보다, 실무형 인재를 중심으로 딜과 밸류업을 통합적으로 설계하는 전략이 향후 경쟁력의 핵심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딜별 맞춤형 Value-up 전략 병행 필요
국내 시장의 구조상, ‘Deal-by-Deal’ 방식의 오퍼레이션 접근이 더 현실적이라는 분석도 설득력을 얻고 있다. 산업군과 투자 구조에 따라 유연하게 오퍼레이션 전문가를 투입하고, 단기 집중 실행(예: 100일 플랜, 공장 자동화, 브랜드 리포지셔닝 등)을 통해 성과를 확보하는 방식이다.
또한 Value Creation Team(VCT)와 같은 전담 조직의 정착을 통해, 투자 이후 기업의 성과를 정량적으로 모니터링하고 리스크를 사전에 감지할 수 있는 체계를 강화해야 한다는 제안도 이어지고 있다.
창업자와의 조율 실패도 리스크 요인
경영 관여의 또 다른 변수는 창업자의 잔류 여부다. 실제로 TPG가 인수한 녹수, JKL파트너스의 거흥산업 사례처럼, 창업자와 손발을 맞추지 못한 결과로 투자 회수가 지연된 경우도 있다. 단순한 지분 인수만으로는 가치 제고가 어렵다는 점이 반복적으로 드러나고 있는 것이다.
한 M&A 업계 관계자는 “PEF들이 향후 ‘경영 실행력’ 확보 없이는 엑시트 전략 자체가 성립되지 않는 상황이 올 것”이라며 “투자, 실행, 회수의 전 과정을 아우를 수 있는 실무형 조직 구성이 과제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트리뷴 (c)
コメント